
운전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꿀팁 하나 공유하고자 한다. 바로 '착한 운전 마일리지' 제도다. 정부에서는 안전운전 문화 장착을 위해 2013년 8월부터 경찰청 주관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현재 전국 경찰서 민원실 및 지구대, 파출소에서 신청 가능하다. 매년 무위반 및 무사고 서약서를 접수하면 되는데 이후 1년간 이를 실천할 경우 10점씩 마일리지가 적립된다. 마일리지는 기간에 상관없이 누적되므로 미리 받아두면 좋다. 또한 해당 혜택은 면허 정지 처분 시 누적된 마일리지만큼 벌점도 차감되기 때문에 유용하다. 만약 아직 받지 않았다면 올해 가기 전 서둘러 발급받도록 하자. 목차 1. 착한운전 마일리지 온라인 신청방법 2. 착한운전 마일리지 모바일 앱 신청방법 1. 착한운전 마일리지 온라인 신청 1. 경찰청 교통..

주정차 단속 알림 서비스 전국 통합신청방법 알아보기 운전하시는 분들은 공감하시겠지만 불법 주정차 단속 구역인지 아닌지 신경 쓰이는 일이 참 많다. 잠깐 세워둔 건데 과태료 고지서가 날아오면 억울하기도 하고 돈 아깝다는 생각도 든다. 물론 정해진 교통법규대로 하는 게 맞긴 하지만 피치 못할 사정이 생길 수도 있지 않은가. 이럴 때 유용한 서비스가 있으니 바로 '주정차 단속 알림 서비스'다. 문자메시지로 알려주기 때문에 미리 대비할 수 있어 편리하다. 신청방법도 간단하다. 각 지자체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가입하면 된다. 다만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알림 문자 수신 후 5분 이내에 차를 이동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또다시 과태료가 부과 딜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서울시에서는 고정형 CCTV에..

속도를 위반하여 과속단속카메라에 찍힌 경험이 있으신가요? 또는 잠시 주정차를 해놨는데 과태료 딱지가 온 적이 있으실까요? 과태료는 운전자를 특정할 수 없기에 벌금을 내면 벌점을 피할 수 있지만 범칙금은 경찰 단속으로 인해 운전자를 특정할 수 있기에 벌점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제 자동차 과태료와 범칙금을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자동차 범칙금 과태료 모바일 조회방법 2. 자동차 범칙금 과태료 온라인 조회방법 1. 자동차 범칙금 과태료 모바일 조회 방법 플레이스토어 혹은 앱스토어에서 교통민원24(이파인)을 검색후 다운로드 해줍니다. 🔍 교통민원24(이파인) 다운로드 👆 최초 화면에서 로그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로그인 방법은 간편인증 방식과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디지털원패스 방..